안녕하세요!
오늘은 헷갈리는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를 알아봅시다!
수를 세다 = count
셀 수 있는 = countable 을 써서,
가산명사 countable nouns / 불가산 명사 uncountable nouns
개수를 1개, 2개 셀 수 있는 명사를 '가산 명사', 셀 수 없는 명사를 '불가산 명사'라 합니다.
가산명사에는 book, candle, cherry, plate, glass, cup 등이 있어요.
특히 day, week, appointment, task, hour, minute, second 는 셀 수 있는 명사에 해당합니다. 그래서 a day, two weeks, an hour 로 쓰는게 가능해요.
불가산 명사에는 homework, milk, bread, rice, fruit, cheese, money, luck, information, advice 등이 있습니다.
자 그럼 여기서 퀴즈!
garlic 마늘은 셀 수 있을까요?
.
.
.
두구두구...!!
정답은 셀 수 없다 입니다.
셀수없는 명사 앞에는 a,an을 쓰지 않습니다.
그래서 아래와 같이 쓸 수 없어요.
a garlic (X) > a clove of garlic 로 쓰면 마늘 한쪽이 됩니다.
대신, 셀 수 없는 명사는 양을 표현할때 앞에 단위를 붙여주면 됩니다!
케잌 한 조각 a piece of cake
커피 한 잔 a cup of coffee
빵 한 조각 a loaf of bread
소금 한 꼬집 a pinch of salt
버터 한 팩 a packet of butter
비누 한 덩어리 a bar of soap
가산 명사안에서,
단수 singular / 2개 이상이면 복수 plural
로 나눌 수 있어요.
복수 명사를 만드는 방법은 간단해요.
끝에 -s를 붙이면 plural noun 을 만들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규칙적인 명사를 규칙 명사라고 해요.
반면 불규칙 명사는 규칙이 없어 이것들은 외워주셔야 합니다 (*tooth-teeth, child-children, person-people, woman-women)
그러면 규칙형, 불규칙형은 어떻게 말할까요?
규칙 regular / 불규칙 irregular
명사 뿐 아니라 동사도 규칙 동사, 불규칙 동사가 있죠!
규칙 동사는 regular verb / 불규칙 동사는 irregular berbs
규칙 동사는 단어 끝에 -ed 를 붙여 과거형, 과거분사를 만들어요. (*play-played-played)
불규칙 동사에는 go-went-gone, eat-ate-eaten, meet-met-met 등이 있습니다.
댓글